흑마늘의 항산화, 항균 및 항혈전 활성
논문발췌(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)
※생마늘과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측정
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. 흑마늘은 DPPH 음이온에 대
한 소거능은 생마늘보다 미약하였으나, ABTS 양이온 소거
능 및 nitrite 소거능은 생마늘보다 우수하였다. 특히 nitrite
소거능이 발암억제와 관련[18]됨을 고려할 때 흑마늘이 생마
늘보다 발암억제 효능은 더욱 우수하리라 판단된다[6, 30].
※흑마늘 추출물은 생마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혈전 활
성을 상실한 반면,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
Staphylococcus aureus 및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세균
활성과 프로트롬빈, 혈액응고인자 저해, 인간 혈소판 응집저
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. 흑마늘 열
수 추출물 및 분획물은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
다. 본 연구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이 향
후 항혈전 활성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
함을 제시하고 있다.
※흑마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
흑마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실제적 이용가능성을 검토하
기 위해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. 먼저
triton X-100 (1 mg/ml)은 99.9% 이상의 용혈활성을 나타내
었으며, 용매 대조구로 사용된 DMSO (2%)는 용혈활성을 나
타내지 않았다(Table 6). 생마늘 및 흑마늘의 추출물과 이의
분획물들은 5 mg/ml 농도까지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
다. 이상의 결과는, 흑마늘의 가열숙성공정 중에 다양한 폴
리페놀 성분 및 환원당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, 항산화 활성
및 항혈전 활성물질의 증가가 나타남을 제시하며, 특히 흑마
늘 물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
혈전 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
능함을 제시하고 있다